
내년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득감소 우려 등에 가 계소비가 평균 2.4%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6일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 명을 대상으로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과반(56.2%)은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 대 비 축소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내년 가계 소비지출은 올 해에 비해 평균적으로 2.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상위 20%인 소득5분위만 소 비지출이 증가(0.8%)하고 나머지 소득1~4분위(하위 80%)는 모두 소비지출이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4분위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소비지출 감소폭 이 더욱 클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분위별 내년도 소비지 출 전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득1분위 △6.5%△2 분위 △3.1%△3분위 △2.0% △4분위 △0.8%△5분위 0.8%이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 와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 및 소득감소 영향을 많이 받아 소비여력이 비례적으로 축소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민들은 내년에 소비지출을 축소하는 주요 이유로 물가 상승(43.9%)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실직·소득 감소 우려(13.5%) △세금·공과금 부담(10.4%) △채무(대출 원리금 등) 상환 부담(10.3%)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여행·외식·숙박(21.0%) △내구재 (15.4%) △여가·문화생활(15.0%) 등의 소비를 줄이겠 다고 답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민간소비를 주도하고 있 는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내년도 소비감소가 전망된 다. 반면 △음식료품(26.6%) △주거비(전·월세 및 전기· 가스 등)(20.9%) △생필품(12.7%) 등 필수소비재는 소 비가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해당 품목이 최근 가 격 상승에도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이 다. [파이낸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