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금리 인상 조만간 끝?… 연준 고위인사들 “2024년에나 인하”


금리 인상이 조만간 끝날 것이라는 낙관론이 시장에 퍼 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 사들이 현재와 같은 고금리 상황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 는 입장을 밝혔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연준 3인자 인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뉴욕경 제클럽 주최 온라인 행사에서 “아마도 2024년에나 우 리가 명목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단계에 이를 것”이라 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인상이 끝나더라 도 한동안 높은 수준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취지로 해석 된다. 이는 이르면 내년 중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로 전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는 것 이다. 최근 공개된 11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대다수 위원들은 인상 속도를 곧 늦추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지나친 긴축으 로 경기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에 전세계 다른 나라들도 긴축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르면 내 년 상반기 금리 동결에 돌입하는 등 긴축 기조를 마무리 할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이다.

윌리엄스 총재는 다음 달 13∼14일 열리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폭을 0.5%포 인트(p)로 다소 낮출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다만 그는 “내 기본적인 견해는 지금보다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면서 최소 내년까지 “당분 간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6.2%에 이르는 물가상승률이 내 년 말에는 3∼3.5%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기저 의 물가 압력을 낮추기 위해 추가 통화 긴축이 필요할 것 이라고 내다봤다.

연준 내 대표적인 매파(통화긴축) 인사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이날 마켓워치가 주최한 행사 에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FOMC가 보다 공격적 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시장이 이를 과소평가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불러드 총재는 “최종금리는 5∼7% 사이가 될 것”이라고 자신의 기존 전망을 재차 밝히며 “물가상승률을 연준 목 표치인 2%로 되돌릴 수 있도록 제약적인 금리 수준에 머 물러야 한다”고 말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이날 파이낸셜타 임스(FT) 인터뷰에서 “연준은 아직 금리인상 동결의 근처 에도 가지 않았다”고 밝혔다. [헤럴드경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