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내 딸도 똑같이 죽었습니다" 오열한 아버지..또다른 '서이초 교사' 몇 명인가


"잠깐만요! 우리 딸도 몇 개월 전에..우리 딸도..똑같이 죽었습니다. 같이 조사해주세요."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24일 서울 교원단체총연합회, 서울 교사노동조합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등 3개 교직단체와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긴급 공동 기자회견을 하던 중 회견장 뒤편에서 한 남성의 울음 섞인 외침이 들려왔다.


이날 기자회견은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20대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과 관련해 교육청과 교직단체들이 교권회복 방안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교권회복' 발표자리에서 울음 터진 아버지 "우리 딸도 조사해달라"


시교육청과 교직단체들의 발표 이후 언론과의 질의응답을 시작하려 할 때쯤 한 남성이 "잠깐만요"라고 외친 뒤 자리에서 일어나서 "제 딸도 똑같이 죽었다"라며 흐느꼈다.


이 남성은 자신의 딸이 사립학교 기간제 교사였는데 최근 논란이 되는 교권 침해 문제를 겪고 6개월 전 사망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딸도 작년 7월에 병가를 내고 지내다가 6개월 전에 이렇게...”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그러면서 “민원을 넣으니까 오래 걸린다고 하더라”라며 “사건이 이대로 지나가면 묻히고 우리 딸은 억울하다"라고 호소했다.


남성은 연신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치며 "어제 서이초에 가서 많이 울었다. 서이초 선생님은 조화가 놓이는데 우리 딸은 꽃송이도 하나 못 받고 죽었다"라며 "우리 딸도 같이 조사해 달라. 우리 딸도 똑같은 대한민국 교사였다. 자랑스러운 딸이었다. (서이초 사건과) 따로 떼서 생각하면 안 된다. 대책을 같이 마련해달라"라고 촉구했다.


함께 온 가족도 "제 동생도 서이초 사건과 거의 동일한 일을 겪었다"라며 "저희는 사립이라 공립과 다르게 도움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전에 보고받은 적 있다. 다시 체크하고 검토해서 처리하도록 하겠다"라고 답했다.


서울교육청, 교육부와 교육활동 침해 현황 파악 나서


한편 조 교육감은 이날 박근병 위원장, 석승하 서울 교총 수석부회장, 김성보 전교조 서울지부장과 함께 나와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긴급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우선 교육부와의 협의를 통해 교원들의 정당한 교육활동의 범주를 명시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교사들의 교육활동 침해 상황에 대한 현황 파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또 “관계부서 협의를 통해 교육활동 침해에 대한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교원안심공제 서비스 보장을 확대, 교직 단체와 지속 협의를 통해 정당한 교육활동 보호 방안을 마련하겠다”라고 했다.


서이초 사건과 관련해서는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교직원들과 학생에 대한 집단 상담과 심리·정서 회복 지원 방안 등을 마련하고 양천구 초교의 폭행 피해 교원이 교단에 빨리 설 수 있도록 법률 자문 및 소송 지원, 치유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교육청은 아동학대 신고에서 교직원을 보호할 수 있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교원의 면책권이 포함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교육활동 침해 학생과 교원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교원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을 개정하고, 교육활동 침해 가해자에 대한 조치 의무화를 관련 법령에 명시해달라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