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법부를 무력화하려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정부의 '사법개혁' 추진에 맞선 시민들의 반발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1일(현지시간) 일간 하레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날 저녁 텔아비브를 비롯한 이스라엘 주요 도시에서 토요 반정부 시위가 열렸다. 지난 7일 시작돼 3주째를 맞은 이스라엘 반정부 시위는 갈수록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날 텔아비브 카플란로에서 열린 시위에는 최소 11만 명, 텔아비브 하비마 광장에도 1만여 명이 모여 정부의 사법부 무력화 시도를 성토했다. 또 중부 도시 하이파 집회에는 6천여 명, 예루살렘에서도 4천여 명이 시위에 동참했다.
야권과 시민단체가 주도한 시위에는 전직 검찰총장 등 법조인들과 일반 시민들도 대거 참여했다.
전직 검찰총장 디나 질베르는 "사람들이 여기 모여 그들의 발걸음으로 투표를 하고 있다"며 "우리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만하면 충분하다"고 네타냐후 정부의 사법개혁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2017년 맨부커상을 수상한 작가 데이비드 그로스만은 "점점 더 많은 젊은이가 이 나라에 살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많은 사람이 고국에서 외국인이 된 것처럼 느낀다면 분명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개탄했다. 지난달 재집권한 네타냐후 총리 주도의 연립정부는 대법원의 권한을 축소해 정부의 삼권 분립에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논리로 사법 개혁을 추진 중이다. 연성헌법인 '기본법'에 대한 대법원의 사법심사 권한을 원천적으로 박탈하고, 다른 법률에 대한 대법원의 위헌 결정도 단원제 국회(크네세트)의 단순 과반 의결로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법 개혁안의 골자다. 그러나 야권과 시민단체 등은 이런 사법개혁이 사법부의 독립성을 무력화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정치적 쿠데타'라고 비판해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