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돈맥경화' 푼다...5대 금융 연내 95조 유동성 공급, 자금 지원


5대 금융지주가 올해 연말까지 95조원 규모의 유동성 및 자금 지원에 나선다. 레고랜드 지급 보증 거부 사태로 발생한 '돈맥경화'를 풀기 위한 소방수로 나선 것이다.

1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주재한 간담회에 참석한 5대 금융지주 회장은 올해 연말까지 95조원 규모의 시장 유동성 및 계열사 자금 지원을 통해 시장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시장 유동성 공급 확대에 73조원, 채권시장안정펀드 및 증권시장안정펀드 참여로 12조원, 지주 그룹 내 계열사 자금 공급 10조원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5대 금융지주는 은행채 발행을 자제하고 공기업과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 확대하기로 했다. 유동성 공급을 위해 특은채·여전채·회사채·기업어음(CP) 및 자산 유동화기업어음(ABCP)·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에 나선다. 김주현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최근 단기금융 시장이 일부 시장 충격에 민감히 반응해 회사채 시장까지 불안이 생겼으나 정부와 한국은행, 은행권의 노력에 시장 상황이 더 이상 악화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자금 시장 안정화 시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김 위원장은 "이전에는 거시적 관점에서 봤는데 최근에는 미시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일일 자금 동향 점검식으로 체크한다"고 말했다.

김주현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최근 자본시장 상황에 대한 기자들과 문답에서 늘어난 기업 대출에도 우려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렇게 짧은 기간에 금리가 급격히 오른 적이 없고 환율도 마찬가지"라면서 "기업 입장에서도 당연히 조정에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향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계획을 묻는 말에는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부동산 연착륙은 금융 부문 이슈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부동산 정책하고 조합이 맞아서 이뤄지기 때문에 DSR 하나만 갖고 이야기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이어 "지금 연착륙이 부동산 시장뿐만 아니라 금융시장 안정과도 굉장히 밀접하게 연계돼 있기 때문에 한두 달 전부터 계속 국토부와 이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DSR은 과도하게 빚을 지지 말라는 의미이므로, 지금 같은 상황에서 DSR 규제 완화는 신중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Recent Posts

See All

정부가 식당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금지하지 않기로 했다. 또 카페에서 플라스틱 빨대, 편의점에서 비닐봉지 사용도 한동안 단속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에서 소상공인 부담을 고 려했다고 설명했지만, 시대적 과제이자 국정과제인 '일 회용품 사용량 감축' 정책이 후퇴했다는 비판이 거셀 것 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내년 4월 총선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