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정상급 수준인 서울대학교병원마저 외과와 응급의학과 등 '비인기' 진료과목 의사 찾기에 고전하고 있다.
반면 성형외과와 피부과 같은 인기 진료과목은 금세 모집인원을 채웠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의원이 서울대병원으로부터 받은 '진료과별 전문의 지원 및 모집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병원은 외과 전문의 46명을 11차례에 걸쳐 모집했다.
거듭되는 모집공고에도 필요한 인원을 다 채우지 못했다가 11차례 시도 끝에 결국 애초 계획 인원보다 1명 더 많은 47명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전문의는 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대학병원 등 수련병원에서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 등 전공의 기간을 거친 의사를 칭한다. 진료과목은 인턴 1년을 마치고 레지던트 과정에 들어갈 때 선택한다.
지난해 서울대병원에서 10차례 이상 의사를 채용한 진료과목은 외과가 유일했다.
애초 진료과목을 선택하는 전공의 단계에서 외과 기피 현상이 누적돼 전문의 부족과 구인난이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인력 부족은 장시간 노동을 유발해 외과 기피를 심화시킨다.
다른 비인기 진료과목의 사정도 비슷했다.
지난해 응급학과는 8차례 모집공고를 내 24명을 모집했지만 지원자는 11명밖에 없었고 결국 10명만 채용됐다. 애초 모집 인원의 절반도 못 채운 것이다.
내과 역시 9차례 모집 공고에도 모집을 완료하지 못했다. 82명 모집에 75명이 지원하고 72명이 합격했다.
비인기 진료과목에 속하는 흉부외과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의사 역시 각각 5차례를 모집하고 나서야 필요인원을 모두 채웠다.
이와 달리 성형외과는 추가 채용 없이 단 한 차례 만에 계획했던 모집인원을 충족했다. 피부과, 정형외과도 2차례 모집이면 충분했다. [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