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실내마스크 정치적 논란?…재유행 추이 따라 ‘조기 결정’ 가능성도


대전시의 선언으로 시작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슈가 커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중앙재난안 전대책본부(중대본)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고, 정부의 방역 자문역은 "(해제 후 뒤따를 피해를) 지방자치단체 장이 책임질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뉴스1에 따르면 한편에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 또는 자율화로 바꾸고 고위험 장소에서는 여전히 의무로 두는 등 절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들 의견 도 제기된다. 방역 정책에 대한 결정이 정치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우려도 잇따른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전날(5일) 간부들에게 "지금 여러 논란이 일고 있는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문제를 우리 도 입장에서 적극 검토해달라"며 "자율에 맡기는 형태로 가 는 게 바람직하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하겠다는 내용도 검토해달라"고 지시했다.

같은 날 집권 여당 유력 정치인인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은 페이스북에 "적어도 1월 말에는 의무 해제 검토가 아 닌 시행을 전제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 다. 앞서 대전시는 오는 15일까지 당국의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결정이 없으면 내년 1월 행정명령을 내 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겠다는 내용의 공문 을 지난달 30일 중대본에 보냈다.

이들의 근거는 △식당·카페 등에서 이미 대부분 벗고 있 어 실효성이 떨어지고 △아이들의 정서·언어 발달에 도 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현재 주요 국가 중 전면 의 무를 유지하는 국가는 거의 없고 의료기관이나 대중교통 등 특정 장소에만 착용 의무가 남아 있다.

당국은 지자체의 이런 독자적 움직임을 말리는 분위기 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는 중대본 결정으로 시행할 예정"이라며 "단일 의 방역망 가동이 중요한 만큼 중대본 조치계획에 함께 하도록 대전시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유행 상황을 관찰하며 공개토론회 및 자문위 원회를 거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 시기 등을 구체 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당국은 "겨울철 재유행을 지 켜보겠다"는 입장이었다. 코로나19 재유행이 예상보단 악화하지 않고 있어 정부 판단도 다소 빨라질 순 있어 보 인다. 하지만 정부의 방역 자문역을 비롯한 일부 전문가 들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어 실내 마스크 조기 해제 역시 속단하기 어렵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 응 자문위원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확진자와 위중증·사 망자가 늘 것은 뻔하고, 고위험군 중심의 억울한 죽음 과 고생에 대해 누가 책임을 질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반은 계속 분분한 상황인데 이 번 제안을 계기로 관련 논의가 속도를 낼 필요성이 제시 된다. 해제 여부보다 절충안을 합의를 통해 마련할 때라 는 이유에서다. [세계일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