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란, 반정부 시위에 환율 위기까지…"경제 관리 실패"


이슬람 원리주의를 강조하는 이란 정부가 시위에 이어 환율 위기까지 직면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서방이 이란핵 위협에 대해 수 년간 제재를 가한 영향도 있지만 원리주의의 독재 정권이 경제 관리에 실패한 것이 더 큰 이유라고 NYT는 지적했다.

NYT에 따르면 최근 이란 리얄화가 사상 최저로 붕괴하며 현지 환전소 곳곳은 미국 달러로 환전하려는 이들로 다시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슬람력 새해가 다가 오지만 쇼핑이나 여행은 커녕 명절 음식도 준비하기 힘든 이들이 있다고 NYT는 전했다.

올 들어 리얄 가치는 달러 대비 30% 추락했고 이란 국민의 정부에 대한 불만과 절망감을 더했다고 NYT는 평가했다. 서방과의 핵합의가 당장 복구될 가능성은 크지 않은 데다 지난 9월 촉발된 반정부 대규모 시위와 폭력적 진압이 이어지며 경제 회복과 정치적 변화는 요원해 보인다고 NYT는 전망했다.

현재 환율 위기는 지난 수 년 간 이어진 서방 제재에서 시작됐지만 정부의 관리부실과 부패도 큰 몫을 차지한다고 NYT는 지저갰다. 이란 정부는 중저소득층에게 정부 보조금을 주며 민간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촉구하지만 경제 회복에 번번히 실패하고 있다.

이란 경제 대부분은 정부에 충성하는 유착세력 혹은 강력한 이란혁명군에 의해 통제되기 떄문에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민간 투자는 거의 전무하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란이 새로운 핵합의를 타결해 제재가 풀리면 절실하게 필요한 현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새로운 핵합의는 결국 이란 정부의 수입과 권력만 키우는 꼴이 되고 말 것이라는 비난도 있다.

버지니아 공과대학의 드자바드 살레히-이스파하니 경제학 교수는 급등하는 리얄 환율 속에서 이란의 젊은이들에게 기회 박탈과 절망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NYT가 인용한 애널리스트들에 따르면 올해 이란에서 복지 예산은 인플레이션 만큼 늘지 않았고 식품과 휘발유에 대한 보조금도 그만큼 확대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란혁명수비대를 비롯한 국방 예산은 더 늘어났다고 NYT는 지적했다. 근동정책 워싱턴연구소의 헨리 롬 시니어 펠로우는 "국방에 더 많은 돈을 쓰고 복지를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