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란 핵합의 복원 전망속 이스라엘-미국 정상회담 추진"

Updated: Oct 7, 2022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을 둘러싼 막바지 진통 속에 핵합의 복원을 반대해온

이스라엘의 총리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스라엘 고위 관리는 전날 공영방송 칸(Kan)에 다음 달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77차 유엔총회 계기에 야이르 라피드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의 회담이 추진되고 있다고 전했다.

회담 시기로는 다음 달 20일 바이든 대통령의 총회 연설이 끝난 직후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이

관리는 덧붙였다.

또 이스라엘 매체 와이넷(Ynet)은 익명의 미국 고위 관리를 인용, 양국 고위관리들이 이란 핵 합의

문제로 최근 빈번하게 대화를 나눴으며 양국 정상은 며칠 내로 전화로 관련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최근 재개된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은 유럽 측의 중재안에 미국과 이란이 의견서를 제출하면서 9부 능선을

넘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러나 이란과 미국은 합의를 위한 '정치적 결단'을 미루고 있다.

중동내 유일한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이란의 핵무장을 극도로 경계하는 이스라엘은 핵합의 복원을

반대하며, 이란 핵무장을 저지하기 위해 무력을 동원할 수도 있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혀왔다.

특히 이스라엘은 핵합의가 복원되면 당장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할 수 있지만, 합의 유효기간인 2031년

이후 이란의 우라늄 농축에 대한 제약을 푸는 이른바 '일몰조항'(Sunset)을 우려하고 있다.

이 조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8년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한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또 이스라엘은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예멘 반군 후티, 시리아의 아사드

정권 등 이란의 지원을 받으며 이스라엘과 직간접적으로 무력 대치하는 속칭 '대리세력들'(Proxies)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편다.

미국을 방문 중인 베니 간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도 전날 현지 주요 싱크탱크 수장들에게 이런 우려를

전달하고, 핵합의 이런 우려를 불식시킬 진전된 조항들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