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에서 한해 소비되는 일회용컵이 최근 5년간 연평균 8억7천만개,
지난해에는 10억개가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에 회수되는 일회용컵은 30%가 안 됐다.
1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환경부서 받은 자료를 보면 일회용품 저감을 위해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스타벅스·배스킨라빈스·빽다방 등 카페 프랜차이즈 14곳과 맥도날드·롯데리아·버거킹·KFC 등 패스트푸드업체 4곳(2019년까지는 파파이스 포함)에서 2017년부터 작년까지 5년간 사용한
일회용컵은 43억4천567만3천여개로 연평균 8억6천913만5천개였다. 올핸 상반기에 5억3천496만3천여개를 썼다.
카페와 패스트푸드점 일회용컵 사용량은 코로나19로 늘었다. 2017~2019년 연평균 사용량은 7억8천484
만5천개였는데 2020~2021년 연평균 사용량은 9억9천556만9천여개에 달했다. 특히 작년 사용량은 10억2천389만1천여개로 10억개를 넘었다. 업체가 회수한 일회용컵은 사용량의 30%가 안 됐다. 회수된
일회용컵은 2017~2021년 연평균 2억3천857만5천여개였다. 같은 기간 일회용컵 사용량 대비 회수량
비율은 27.5%에 불과했다.
올해 상반기는 회수된 일회용컵이 8천664만4천개로 회수율이 16.2%에 그쳤다. 그나마 패스트푸드점에서 탄산음료를 담아주는 플라스틱컵 등 합성수지컵 회수율이 높아 이 정도 회수율이 나온 것이다.
지난해 패스트푸드점 합성수지컵 회수율은 67.2%로 종이컵(22.2%)에 견줘 훨씬 높았다. 카페전문점은
작년 기준 합성수지컵 회수율이 7.6%에 그치며 종이컵 회수율도 14.3%다. 먹고 마시는 데 일회용품을 쓰지 말자는 공감대는 형성돼있다. 일회용컵 재활용률을 높이고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보증금제에 대해 지난 4월 한국리서치가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81%가 "환경을 위해서라면
보증금제로 인한 불편을 감수할 수 있다"라고 답했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가맹점이 100개 이상인 프랜차이즈의 매장'서 음료를 일회용컵에 받으려면 음료값과 함께 보증금 300원을 내도록 하고 이후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제도로 12월 2일 시행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