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은 "당분간 5%대 고물가"…내년도 물가 중점 통화정책


한국은행이 높은 국제 원자재 가격 등의 영향으로 향후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면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시사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5.1% 상승하며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상회했는데 이는 금융위기였던 2008년(4.7%)을 넘어 1998년(7.5%)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물가의 추세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가 넉 달 연속 상승폭을 키우면서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은은 20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물가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갈 것"이라며 "다만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하방 압력도 커지면서 오름세는 점차 둔화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6.3%로 정점을 찍은 후 8월 5.7%, 9월 5.6%, 10월 5.7%에 이어 11월 5.0%까지 떨어지면서 다소 둔화하고 있다. 그러나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7월 3.9%에서 8월 4.0%, 9월 4.1%, 10월 4.2%, 11월 4.3%까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 근원물가 연간 상승률은 물가급등기였던 2008년(3.6%)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계절과 같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는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하고 산출한 값인 근원물가의 상승은 앞으로도 고물가가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정부의 영향이 없었다면 이 같은 근원물가 상승폭은 더 커진다.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을 대상으로 만든 가격지수인 관리물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4.7%에서 8월과 9월 각 4.8%에 이어 10월 5.1%까지 높아졌다. 관리물가는 전기·도시가스·수도요금과 통신료 등 46개 품목이 포함된다.

한은은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유가와 환율 흐름,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정도, 국내외 경기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단기적으로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상방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하방압력이 상당 부분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Recent Posts

See All

대장동 개발 민간업자들이 받는 배임 혐의 액수가 '651억원+알파(α)'에서 '4895억원'으로 변경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받고 있는 혐의를 반영한 것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이준철 부장판사)는 5일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남욱 변호사, 정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