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대통령이 '우주경제' 비전을 구체화했다. 5년 내 달에 갈 수 있는 독자 발사체 엔진 개발을 시작으로 10 년 뒤 달 착륙, 광복 100주년인 2045년 화성에 착륙하 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내년에는 미국 항공우주국 나 사(NASA)를 모델로 하는 우주항공청을 설립해 우주 강 국으로의 도약에 속도를 낸다.
윤 대통령은 28일 서울 서초구 JW매리어트 호텔에서 열 린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선포식'에서 2045년까지의 정 책방향을 담은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 우주에 비전이 있는 나라가 세계 경 제를 주도하고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풀어갈 수 있다" 며 "우주 강국을 향한 꿈은 먼 미래가 아니라 아이들과 청년들이 가질 기회이자 희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직접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우주 경제 시대를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발표한 로드맵 은 5년 내 달로 향할 독자발사체 엔진 개발을 시작으 로 2032년 달 착륙 및 자원 채굴에 이어 광복 100주년 인 2045년 화성 착륙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달·화 성 탐사 ▲우주기술 강국 도약 ▲우주산업 육성 ▲우주 인재양성 ▲우주안보 실현 ▲국제공조 주도 등 6대 정 책을 추진한다.
구체적인 신규 사업은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반영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우주경제 실현 가시화를 위해 이번 계획에 대한 공청회를 오는 30일 개최한다. 이 후 다음달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해 확정할 예정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