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3월 이내 실내마스크 벗는다…국가감염병 체계 고도화


방역 당국이 오는 3월까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완화하는 등 일상 회복을 본격 추진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 청장은 9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의 '2023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업무계획을 보면 3월까지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완화한다. 다만 1단계 완화를 하더라도 의료, 요양, 복지, 대중교통 등 감염취약 시설은 제외 대상이다. 중국에서 코로나19 신규 변이가 출현하거나 유입될 가능성에도 대비한다. 주기적인 상황 평가 회의를 열어 검역 조치도 신속하게 취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계획은 유행 상황과 변이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립한다. 지 청장은 이날 신·변종 감염병에 대비해 국가 감염병 대응 역량도 강화한다는 내용도 보고했다.

유행이 예상되는 감염병에 대해 생활하수(下水) 감시체계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팬데믹 가능성이 높은 호흡기 질환의 경우 현재 150개인 병원체 감시 참여기관을 170개로 확대해 국내 감시를 강화한다.

나아가 공항 검역소에만 설치된 검역정보사전입력 시스템(Q-CODE)을 항만 검역소로 확대 설치한다. 국가별 감염병 정보의 대국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해외감염병신고센터를 확충한다.

특히 알려지지 않은 신종감염병인 'Disease X'에 대비해 새로운 병원체의 진단 검사 역량도 강화한다. 신종감염병 원인병원체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 병원체 유전자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고,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기반으로 진단검사법 개발도 추진한다.

질병청은 내년까지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 차세대 결핵 백신 및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백신 후보물질 개발을 지원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감염병혁신연합(CEPI)이 지정한 니파, 뎅기열 등에 대한 백신 후보물질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다.

지 청장은 "코로나19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국민의 일상 회복을 지원하고 미래 팬데믹에 대비한 국가 감염병 대응체계를 고도화해 보건 안보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