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수출국기구(OPEC)과 비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하루 200만 배럴 감산 방침을 계속 유지하 기로 했다.
A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OPEC+는 4일(현지시간) 정례회의 후 발표한 성명에서 지난 회의에서 합의한 감 산 정책을 변경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OPEC+는 성명을 통해 "원유 시장을 계속 주시해가며 수급 균형과 가격 안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즉각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0월 OPEC+는 11월 원유 생산량을 하루 200만 배럴 줄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힌바 있다. 이는 신종코 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최대 감산 이다. OPEC+는 세계 경기 침체, 금리 인상 등으로 10 월 이후 유가가 하락하는 등 원유 수요가 줄어 감산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를 침공 한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던 미국과 서방은 사우디아라 비아가 러시아의 편을 들고 있다며 OPEC+의 이 같은 결정에 반발했다.
이날 OPEC+의 발표는 유럽연합(EU)과 주요 7개국 (G7), 호주가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을 배럴당 60달 러로 제한하기로 합의한지 이틀 만에 나왔다. 5일부터 적용되는 이 제재는 해상으로 수송되는 러시아산 원유 가 배럴 당 60달러를 넘을 경우 보험, 운송 등 해상 서 비스가 금지된다. 이에 러시아 크렘린궁은 서방의 원유 상한제를 "용납할 수 없다"며 대응 조치를 강구할 것 이라고 밝혔다.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부총리는 "러 시아는 가격 상한선 아래에서 석유를 공급하기보다는 생산량을 줄일 것이며, 서방의 이런 조치가 다른 산유 국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OPEC+ 회의에서 몇 몇 회원국들은 러시아산 원유 상한제 도입에 대한 우 려를 표하면서도 서방이 반시장적 조치를 산유국에 반 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미 국은 이번 상한제가 OPEC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선 을 그었다. 특히 OPEC 장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규탄을 거부한 중국과 인도와 같은 국가에 대부 분의 석유를 판매해 왔기 때문에 오히려 서방의 러시아 산 원유 상한제는 혼란스럽고 비효율적이라고 전했다. [데일리안]